불교의식에서는 사람이 죽은 다음 7일마다 불경을 외면서 재(齋)를 올려 죽은 이가 그 동안에 불법을 깨닫고 다음 세상에서 좋은 곳에 사람으로 태어나기를 비는 제례의식이다.
그래서 칠칠재(七七齋)라고도 부르며, 이 49일간을 '중유(中有)' 또는 '중음(中陰)'이라고 하는데 사람이 죽으면 육신(육체)은 없어지고 영혼(넋 또는 혼)만 남게되는데 이 영혼(불가에서는 영가라고 함)은 죽은 날부터 49일간 이승도 아니고 저승도 아닌 중간으로 중음신(中陰身)으로 있으면서 살아생전 알게모르게 지은 3가지 업장인 삼업(三業: 몸으로 지은 身業, 입으로 지은 口業, 생각으로 지은 意業)의 죄에 대하여 7일에 한번씩 7번의 심판을 받게 된다.
이 기간에 죽은 이가 생전의 업(業)에 따라 이승에서 지은 죄를 7일마다 심판을 받는다고 해서 7일째 되는 날마다 가족분들께서 재판을 잘 받아서 윤회에 따라 극락왕생하시길 바라는 것입니다.
다음 세상에서의 인연, 즉 생(生)이 결정된다고 믿기 때문이다.
천도재荐度斋 망자亡者를 좋은 곳으로 보내주기 위해 치르는 전통불교의식.
우리나라에서는 신라시대부터 망자를 위해 재를 올린 기록이 등장하며, 고려시대 이후 왕실과 지배층을 중심으로 사십구재四十九齋인 칠칠재七七齋에서부터 기재忌齋에 이르기까지 상례喪禮・제례祭禮 기간에 다양한 천도재가 활발하게 치러졌다.
생전에 지은 업을 씻는 정화의식을 거친 다음, 불보살 앞으로 나아가 공양과 불공을 올리며, 망혼에게 시식施食을 대접하고 다시 돌려보냄으로써 의례를 마친다.
이때 극락천도를 위해 불보살에게 올리는 기원도 중요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망혼을 향해 끊임없이 법문을 들려줌으로써 미혹한 마음을 깨우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것이다.
불교에서는 삼보에 공양을 올리고 그 공덕을 함께 하기를 기원하는 의례를 ‘재齋’라 하며, 망자를 위해 올리는 재를 ‘천도재’라 한다.
49재 의식 순서
7재(천도재) 의식 1) 시련(侍輦) : 영가를 초청하여 영단에 모심 ① 삼신이운(三身移運) : 재를 올리는 불사의 자리에 삼신(법신.보신.화신)을 모셔오는 의식
2) 대령(對靈) : 영가에게 앞으로 진행할 일을 올바른 부처님의 법으로 한다 는 것을 설명한다. ② 대령의식(對靈儀式) : 부처님이 깨달은 진리의 법을 설하기 위하여 영가를 부르는 의식
3) 관욕(觀浴) : 영가의 모든 업장을 소멸하고 부처님의 정법이 무엇인지 설명하는 일종의 영가를 목욕시켜드리는 의식 ③ 관욕의식(灌浴儀式) : 영가의 생전에 지은 업장을 씻어내고 해탈복으로 갈아입는 의식
4) 헌공(獻供) : 영가나 제사자나 모두 부처님께 공양을 드리는 의식 ④ 삼보통청(三寶通請) : 삼보(불보. 법보. 승보)님을 통괄적으로 초정하여 공양을 올리는 의식
⑤ 상단권공(上檀勸供) : 부처님전에 초.향.청수등의 공양물을 올리는 의식
5) 신중헌공(神衆獻供) : 천지신명께 공양을 올리고 보살핌을 바라는 의식 ⑥ 신중퇴공(神中退供) : 상단에 올린 공양물을 신중님께 올리기 위하여 신중단으로 옮기는 의식
6) 제사(祭祀) : 천도재(薦度齋) ⑦ 관음시식(觀音施食) : 관세음보살님의 자비로운 마음과 같이 영가에게 음식 공양을 올리는 의식
7) 봉송(奉送) : 영가를 환송하는 의식 ⑧ 봉송의식(奉送儀式) : 영가를 아미타 극락세계로 천도하는 마지막 의식
초상때 부의금으로 들어온 돈으로 망자를 위하여 쓰는 비용이 49재 이고 집안에 좋지않은 일이 자꾸 일어날 때 주로 올리는 것이 천도재이다.
8) 탈상(脫喪) : 상주를 벗어나 평상인으로 돌아가는 의식
제사(祭祀) 의 종류
제사에는 상중의 우제(虞祭) 와 소상(小祥), 대상(大祥),담제(禫祭), 시제(時祭), 차례(茶禮),기제(忌祭), 묘제(墓祭) 등이 있습니다.
시제는 1년에 4번 기제사는 년 8회 묘제는 시조 (始祖) 에서 부터 모든 조상들의 묘소에 가서 지내는 제사로 대개 한식(寒食)이나 음력 10월에 날짜를 정하여 지내며 이것을 대개 시제(時祭) 라고도 합니다.
장례를 지내고 나서 삼년상을 마칠 때까지 망자를 조상신으로 변신시켜 저승에 통합시키고자 지내는 의례, 곧 흉제(凶祭)와 같다고 볼 수 있다.
망자의 혼백(魂帛)[죽은 이의 위패를 만들기 전에 임시로 명주나 모시로 만든 신위]이 집으로 돌아오고 2년 정도가 흐르는 동안 상주들이 세속과 절연하고 근신하여 여러 절차의 의례를 행하는데, 우제(虞祭)·졸곡제(卒哭祭)·부제(祔祭)·소상(小祥)·대상(大祥)·담제(禫祭)·길제(吉祭) 등과 같은 제사가 그것이다.
부고 알림
2022년 12월 25일 21시
김태하(맹철)의 모친 송수현 시어머님
故이성순님께서 향년 79세로 별세 하였기에
삼가 알려드립니다
⁃ 일 포 : 2022년 12월 27일(화)
⁃ 발인일시 : 2022년 12월 28일 오전 08:40
⁃ 발인장소 : 중앙병원장 례식장 1분향실
⁃ 장 지 : 양지공원
49재일 안내
1재일 12월 31일(토)
2재일 1월 07일
3재일 1월 14일
4재일 1월 21일
5재일 1월 28일
6재일 2월 04일
7재일 2월 11일(토)
본 사찰에서 김태하이사님
부모님의 49재를 올리오니
각이사님 께서는 필히 시간을 내시어 참석해 주시기 바랍니다.
49재四十九齋
사람이 죽은 뒤 49일째에 치르는 전통 불교식 제사의례
불교의식에서는 사람이 죽은 다음 7일마다 불경을 외면서 재(齋)를 올려 죽은 이가 그 동안에 불법을 깨닫고 다음 세상에서 좋은 곳에 사람으로 태어나기를 비는 제례의식이다.
그래서 칠칠재(七七齋)라고도 부르며, 이 49일간을 '중유(中有)' 또는 '중음(中陰)'이라고 하는데 사람이 죽으면 육신(육체)은 없어지고 영혼(넋 또는 혼)만 남게되는데 이 영혼(불가에서는 영가라고 함)은 죽은 날부터 49일간 이승도 아니고 저승도 아닌 중간으로 중음신(中陰身)으로 있으면서 살아생전 알게모르게 지은 3가지 업장인 삼업(三業: 몸으로 지은 身業, 입으로 지은 口業, 생각으로 지은 意業)의 죄에 대하여 7일에 한번씩 7번의 심판을 받게 된다.
이 기간에 죽은 이가 생전의 업(業)에 따라 이승에서 지은 죄를 7일마다 심판을 받는다고 해서 7일째 되는 날마다 가족분들께서 재판을 잘 받아서 윤회에 따라 극락왕생하시길 바라는 것입니다.
다음 세상에서의 인연, 즉 생(生)이 결정된다고 믿기 때문이다.
천도재荐度斋
망자亡者를 좋은 곳으로 보내주기 위해 치르는 전통불교의식.
우리나라에서는 신라시대부터 망자를 위해 재를 올린 기록이 등장하며, 고려시대 이후 왕실과 지배층을 중심으로 사십구재四十九齋인 칠칠재七七齋에서부터 기재忌齋에 이르기까지 상례喪禮・제례祭禮 기간에 다양한 천도재가 활발하게 치러졌다.
생전에 지은 업을 씻는 정화의식을 거친 다음, 불보살 앞으로 나아가 공양과 불공을 올리며, 망혼에게 시식施食을 대접하고 다시 돌려보냄으로써 의례를 마친다.
이때 극락천도를 위해 불보살에게 올리는 기원도 중요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망혼을 향해 끊임없이 법문을 들려줌으로써 미혹한 마음을 깨우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것이다.
불교에서는 삼보에 공양을 올리고 그 공덕을 함께 하기를 기원하는 의례를 ‘재齋’라 하며, 망자를 위해 올리는 재를 ‘천도재’라 한다.
49재 의식 순서
7재(천도재) 의식
1) 시련(侍輦) : 영가를 초청하여 영단에 모심
① 삼신이운(三身移運) : 재를 올리는 불사의 자리에 삼신(법신.보신.화신)을 모셔오는 의식
2) 대령(對靈) : 영가에게 앞으로 진행할 일을 올바른 부처님의 법으로 한다 는 것을 설명한다.
② 대령의식(對靈儀式) : 부처님이 깨달은 진리의 법을 설하기 위하여 영가를 부르는 의식
3) 관욕(觀浴) : 영가의 모든 업장을 소멸하고 부처님의 정법이 무엇인지 설명하는 일종의 영가를 목욕시켜드리는 의식
③ 관욕의식(灌浴儀式) : 영가의 생전에 지은 업장을 씻어내고 해탈복으로 갈아입는 의식
4) 헌공(獻供) : 영가나 제사자나 모두 부처님께 공양을 드리는 의식
④ 삼보통청(三寶通請) : 삼보(불보. 법보. 승보)님을 통괄적으로 초정하여 공양을 올리는 의식
⑤ 상단권공(上檀勸供) : 부처님전에 초.향.청수등의 공양물을 올리는 의식
5) 신중헌공(神衆獻供) : 천지신명께 공양을 올리고 보살핌을 바라는 의식
⑥ 신중퇴공(神中退供) : 상단에 올린 공양물을 신중님께 올리기 위하여 신중단으로 옮기는 의식
6) 제사(祭祀) : 천도재(薦度齋)
⑦ 관음시식(觀音施食) : 관세음보살님의 자비로운 마음과 같이 영가에게 음식 공양을 올리는 의식
7) 봉송(奉送) : 영가를 환송하는 의식
⑧ 봉송의식(奉送儀式) : 영가를 아미타 극락세계로 천도하는 마지막 의식
초상때 부의금으로 들어온 돈으로 망자를 위하여 쓰는 비용이 49재 이고 집안에 좋지않은 일이 자꾸 일어날 때 주로 올리는 것이 천도재이다.
8) 탈상(脫喪) : 상주를 벗어나 평상인으로 돌아가는 의식
제사(祭祀) 의 종류
제사에는 상중의 우제(虞祭) 와 소상(小祥), 대상(大祥),담제(禫祭), 시제(時祭), 차례(茶禮),기제(忌祭), 묘제(墓祭) 등이 있습니다.
시제는 1년에 4번
기제사는 년 8회
묘제는 시조 (始祖) 에서 부터 모든 조상들의 묘소에 가서 지내는 제사로 대개 한식(寒食)이나 음력 10월에 날짜를 정하여 지내며 이것을 대개 시제(時祭) 라고도 합니다.
장례를 지내고 나서 삼년상을 마칠 때까지 망자를 조상신으로 변신시켜 저승에 통합시키고자 지내는 의례, 곧 흉제(凶祭)와 같다고 볼 수 있다.
망자의 혼백(魂帛)[죽은 이의 위패를 만들기 전에 임시로 명주나 모시로 만든 신위]이 집으로 돌아오고 2년 정도가 흐르는 동안 상주들이 세속과 절연하고 근신하여 여러 절차의 의례를 행하는데, 우제(虞祭)·졸곡제(卒哭祭)·부제(祔祭)·소상(小祥)·대상(大祥)·담제(禫祭)·길제(吉祭) 등과 같은 제사가 그것이다.
이러한 제사를 통해 망자가 조상신으로 신격화되어 방안 제사로 모셔지게 된다.
ㅇ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